이시간이후
직장인, 일반인, 주부, 노인등 실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

“목포↔부산 드디어 직결!” 보성‒목포 철도 개통

목포부산 드디어 직결!
지역 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전환점

올해(2025) 보성‒목포 철도(목포보성선)이 개통되며, 그동안 끊겨 있던 남해안 철도망이 사실상 연결됩니다. 개통식은 9월 26일(목) 신보성역에서 열리고, 9월 27일(토)부터 본격 운행이 시작됩니다. 이로써 목포(임성리) ↔ 보성(신보성) 사이 신규 선로가 열려 순천·여수·진주·부산으로 이어지는 부산↔목포 직결의 기반이 완성됩니다.

코레일톡 예매 가이드: 목포/임성리↔부전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코레일톡 예매 가이드: 목포/임성리↔부전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코레일톡 앱으로 간편하게 기차표를 예매해보세요!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모바일로 모든 과정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1) 개통 핵심 요약

  • 개통일: 2025년 9월 27일 토요일(개통식 9월 26일 신보성역)
  • 구간: 신보성 ↔ 임성리 (전남 보성군~목포시) 약 79~82km, 단선 전철(초기 운행은 단계적)
  • 의미: 남해안 철도망(경전선 축) 공백 해소 → 목포↔부산 직결 운행 가능, 물류·관광 활성화 기대

2) 노선·정차역 한눈에 보기

정차 예정 역(북→남): 신보성 — 장동 — 전남장흥 — 강진 — 해남 — 영암 — 임성리(목포). 신보성은 보성 연계선(미력 방면, 경전선)과 접속하고, 임성리는 호남선과 만납니다.

역명연계 노선주요 환승/관광
신보성보성연결선(경전선 접속)순천·여수(동부권), 진주·마산·창원·부산(동남권) 연계
전남장흥-우드랜드, 정남진 관광
강진-가우도, 강진만 생태
해남-땅끝마을, 두륜산 대흥사
영암-월출산, F1 경기장 일대
임성리호남선목포역·목포항 연계(셔틀·시내버스)

3) 운행 체계(열차종·횟수·소요시간)

초기 운행은 코레일 일반 여객(새마을·무궁화 중심)으로 시작되며, 평일 8회·주말 10회 수준 운행이 예고됐습니다. 임성리↔신보성 구간은 약 1시간~1시간 05분, 전체 부산↔목포 직결 운행 시 대략 4시간대 소요가 전망됩니다(열차종·정차 패턴에 따라 변동).

※ 실제 시간표·편성은 개통 직후 수요와 선로 여유에 따라 순차 조정될 수 있습니다. 개별 날짜의 정확한 시각은 예매 화면에서 확인하세요.

4) 부산↔목포 직결 시나리오

직결 운행은 경전선(부전·구포·창원·진주·순천·보성)과 이번 신선(신보성↔임성리)·호남선(임성리·목포) 연결로 성립합니다. 업무상·관광 수요가 높은 부전↔목포 직결 새마을/무궁화가 우선 투입되고, 상황에 따라 일부 광역형 셔틀(임성리↔목포역, 신보성↔순천)도 조합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단선·교행 제약으로 배차가 촘촘하진 않지만, 남해안 직결 노선의 ‘첫 단추’라는 상징성과 편익은 큽니다.

5) 예매 방법 & 바로가기

  • 코레일(무궁화·새마을·일부 ITX 등): LET’S KORAIL 웹·앱에서 출발·도착역을 부산(또는 부전)임성리/목포 또는 보성/신보성으로 검색 → 직결/환승 조합 노선 확인.
  • SRT·KTX 환승 조합: 부산(부산역·부전역)에서 순천/광양/진주 경전선 열차로 환승하여 남해안 축을 타고 임성리·목포로 진입하는 시나리오. (고속철은 서울·수서 축에 유리)
코레일톡 예매 가이드: 목포/임성리↔부전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코레일톡 예매 가이드: 목포/임성리↔부전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코레일톡 앱으로 간편하게 기차표를 예매해보세요!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모바일로 모든 과정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6) 요금 개요와 가성비 비교

구간열차종예상 소요요금대(참고)한줄 평가
부산↔목포 직결 새마을/무궁화(초기) 약 4시간대 무궁화 저렴 < 새마을 중간 가격 대비 합리, 바다·해안 관광 연계에 유리
부산↔목포 환승(순천/광양/진주) 경전선 일반 + (상황에 따라) SRT/KTX 환승 3시간대 후반~4시간대 중반 환승 조합에 따라 변동 성수기·주말 좌석 수급에 유연

※ 정확한 운임은 예매 화면의 안내가 기준입니다(열차종·정차·좌석등급·할인 적용에 따라 상이).

7) 환승 팁(광주·순천·여수·진주 연계)

  • 순천·여수 방면: 신보성 이전 경전선 구간에서 잦은 열차. 여수밤바다·오동도 등과 주말 여행으로 묶기 좋음.
  • 광주·무안·신안: 임성리 이후 호남선·시내버스·공항버스 조합. 목포역·목포항 연계로 섬 여행 확장.
  • 진주·마산·창원: 부전·구포 쪽에서 경전선 본선 이용 시 편리. 벚꽃·가을축제 시즌 특급 추천.
팁: 단선 교행 운영 초기엔 배차 간격이 일정치 않을 수 있어, 직결편 우선 + 환승 대안을 함께 즐겨찾기에 저장해 두세요.

8) 자주 묻는 질문(FAQ)

Q1. 진짜로 “목포↔부산”을 한 번에 탈 수 있나요?
A. 네. 이번 개통으로 물리적 단절이 해소되어 직결 운행 편성이 가능해졌습니다(초기엔 새마을/무궁화 중심). 구체 시간표는 코레일 공지·예매 화면을 참조하세요.

Q2. 왜 ‘전철화 노선’인데 전기열차가 아닌 편성이 들어오나요?
A. 초기에는 가용 차량 사정으로 디젤 차량 투입 이슈가 제기되었습니다. 단계적으로 전기열차 편성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Q3. 소요시간은 어느 정도 보나요?
A. 임성리↔신보성 약 1시간 남짓, 부산↔목포 직결 기준 약 4시간대가 유력합니다(정차·대피·환승 변동).

9) 향후 계획(전철화·복선화·속도)

국토부·지자체 발표에 따르면 2030년경까지 추가 전철화·병목 해소가 이뤄지면 목포↔부산 2시간대 이동을 목표로 속도·배차가 개선됩니다. 남해안 물류축(광양항·부산항)과 해안 관광벨트 활성화 효과가 기대됩니다.

코레일톡 예매 가이드: 목포/임성리↔부전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코레일톡 예매 가이드: 목포/임성리↔부전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코레일톡 앱으로 간편하게 기차표를 예매해보세요! 검색부터 좌석 선택까지 모바일로 모든 과정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